1) 압력에 따른 분류
종 류 | 압 력 | 관벽온도 | 파장특성 |
---|---|---|---|
저압 UV램프 | 수10-수100Torr | ≒ 40℃ | 184.9nm 및 253.7nm가 주로 방사됨 |
중압(고압) UV램프 | 1Bar-30Bar | 700-900℃ | 365nm가 주로 나오며 403,436nm 사용 |
초고압 UV램프 | 50Bar-150Bar | 냉각방식에 따라 다름 | UV대역 및 Visble대역에서 연속 스펙트럼 방사 |
2) 용도에 따른 분류
용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하지만 어떤 용도의 램프가 1가지 주용도의 파장만 방사되는 것이 아니며184.9nm에서 가시광선까지다양한 스펙트럼이 나오는데서 필요한 파장의 방사율을 높였거나 해당 파장을 이용하는 것이다.종 류 | 주파장(nm) | 부파장(nm) | 용 도 |
---|---|---|---|
오존발생용 램프 | 184.9 | 253.7, 365 | 오존 발생용 |
살균용 램프 | 253.7 | 365 | 공기, 식기, 순수 |
유기물 분해용 램프 | 253.7, 365 | 184.9, 403, 436 | 순수 및 초순수에 있는 유기물 분해 |
썬텐용 램프 | 297, 313 | 365, 405 | 피부 소독 |
블랙 라이트 | 365 | 297, 313, 405 | 감식, 품질관리, 형광효과 |
경화용 램프 | 365, 420 | 200-450 | UV경화용 수지, 잉크, 접착제 등의 경화 |
노광용 램프 | 420 | 365, 436 | 광화학반응, Diazo film현상, 제판, 에칭 |
3) 전극의 유무에 따른 분류
⊙ Electrode Lamp⊙ Electrodeless UV Lamp
보통의 UV램프가 대부분 전극이 있는 램프로써 열전자 방출 혹은 전계방층에 의한 냉전자 방출인데 비해서 무전극 램프(ElectrodelessLamp)는 미국의 Fusion사가 개발한 램프로써 전극이나 필라멘트가 없으며, 램프 외부에서 Micro Wave를 조사해서 램프내부의 UV방사물질에 따라서 각기 다른 파장을 방사하게 만든 램프로써, 미국, 일본등에서 연구가 활발하다. 램프내부에 Hg만 넣으면 365nm 및 403, 436nm가 방사되며 Gal3를 투입한 경우는 417nm, Fel2를 봉입한 경우는 365nm 부근에서 유사 연속 스펙트럼이 방사되어 UV파장별로 여러 가지를 만들 수 있다.
문제점은 램프를 여기 시키기 위한 Micro Wave장치의 총 입력에 대한 램프 출력 효율이 다서 낮으나, 램프에서 발생하는 열이 매우 낮다는 점 때문에 내열 온도가 낮은 제품의 UV경화에는 많이 사용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점은 램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고, Micro Wave를 사용해야 하므로 WaveShielding이 완벽하지 않을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국내에서는 UV용 Micro Wave램프 차폐에 대하여 연구하는 기관이나 기업이 아직 없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 투자가 시급한 입장이다.
특히, 무전극 램프는 램프 수명이 6,000시간 이상 20,000시간이므로 대단히 경제성이 높으며 최근 미국 에너부의 발표에 의하면 램프 내부에 유황을 투입하여 기존 백열램프보다 전광속이 100배인 램프를 개발 완료하여 90년대 말에 상품화한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그림 참조) 차세대 광원으로 사용된다면 UV용 무전극 램프뿐만 아니라 조명용 무전극 램프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가 필연적이라 사료된다.